카페이야기
-
주위에서는 에스프레소를 마신다, 그리고 에스프레소에 대해 생각한다.Cafe&Tea story/Tea Break time... 2011. 3. 15. 11:08
어느순간 에스프레소를 마시는 사람들이 부쩍 늘어나 버렸다. 얼마전만 해도 카페에 가면 선택하는 메뉴는 캬라멜마끼아또, 모카 정도이거나 더한다면 라떼나 카푸치노, 선택이 귀찮을 때는 아메리카노 정도였달까. 캬라멜 마끼아또나 모카 같은건 각 매장에 사용하는 시럽과 파우더의 종류, 크림의 성질 정도에 따라 맛이 달라졌고, 라떼나 카푸치노는 우유의 상태 정도에 달라졌을까나? (카푸치노는 위에 계피가루를 뿌리는 곳이 대게라서 카푸치노다운 카푸치노를 마셔본건 얼마나 될까 ㅡㅜ) 여하튼 그런 주위에서의 선택이 조금은 바꼈다는 것이다. 카페 커피의 수준의 측도를 카푸치노로 선택하던 친구는 에스프레소를 한잔 마셔보고 카푸치노를 주문한다. 캬라멜 마끼아또만 마시던 친구는 언젠가 내가 추천한 샤케라또를 마셔보더니 맛에 반해..
-
커피가 여의치 않아 홍차를 마시다Cafe&Tea story/Tea Break time... 2011. 3. 9. 10:00
그래 차 한잔 없으면 삶이 조금은 빡빡하지 않나? 그렇다고 사무실에서 인스턴트 커피는 마시기 싫고 말이다. 엄밀히 말해서 커피는 차가 아니지만 그래도 마시며 즐긴다는 것에서 끽다喫茶와 다를바 없다. 현대에서 커피가 주는 것이 비즈니스 속에서 잠시의 여유라면 음다飮茶는 주말의 여유라고 생각한다. 이것도 별반 없이 나누는 거지만 커피는 공정이 간결하고 널리 퍼져 있는데 비해, 차는 예를 갖추고 절차가 복잡하달까? 커피도 에스프레소는 단순하면서 빠르고 핸드 드립은 느리고 절차가 복잡하니 별반 다를것도 아닌데... 여하튼 지금 내가 마시는 홍차는 분말이나 티백은 아닌 파트리지의 잎차다. 잎차지만 인퓨전에 들어가서 조금 슬프다. 잔도 단순하고 볼품없어 조금 슬프다. 그래도 차 한잔 한다는게 어딘가!! 아껴두었던 ..
-
그리움은 그리움으로 달랜다.Cafe&Tea story/Tea Break time... 2011. 2. 22. 14:41
어찌보면 웃긴 소리다. 그리움을 그리움으로 달랜다니. 그리움에 그리움이 더해지면 더욱 간절히 그리워질텐데 말이다. 커피를 마신지 꽤나 됐다. 사실 매일 커피는 마시지만 사실 그건 커피라고 부르기에는 불편한 것들이다. 소위 말하는 인스턴트 커피라는 것. 인스턴트는 종류가 하도 많아서 냉동 건조 커피, 그것을 크림(프림)과 설탕을 믹스한 것, 원두란 것을 티백에 담아 파는 것, 이름만 블루마운틴인 것, 헤이즐넛의 향만 나는 것...등등등 무궁무진하게 많다. 사실 이런 소비성 제품들은 의미를 지니기에는 너무나 가볍다는 생각이다. 그렇기에 나는 커피라고 부르기 불편하다 생각하는 것 같다. 제대로 된 커피 한잔 어디서 마실 수 있을까 싶은 와중에 오랜만에 드립 커피 한잔을 마셨다. 내리는 본인은 한없이 부족하다고..